
2013년 세계적으로 히트하며 복고 열풍을 주도한 로빈 시크(Robin Thicke)의 '블러드 라인스'(Blurred Lines)가 미국 R&B 가수 마빈 게이(Marvin Gaye)의 '갓 투 기브 잇 업'(Got To Give It Up)을 표절했다는 평결을 받았다.
지난 11일 로스앤젤레스 지방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배심원단은 '블러드 라인스'가 마빈 게이의 노래를 표절했음을 판정했다. 재판은 또한 로빈 시크와 '블러드 라인스'를 프로듀스한 퍼렐 윌리엄스(Pharrell Williams)가 마빈 게이의 유족에게 730만 달러를 배상할 것을 명했다.
2013년 여름 마빈 게이의 유족들과 음악 출판 회사 브리지포트 뮤직(Bridgeport Music)은 '블러드 라인스'가 마빈 게이의 1977년 히트곡 '갓 투 기브 잇 업'을 표절했다며 작곡자, 프로듀서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 얘기가 나왔을 때 퍼렐 윌리엄스는 두 노래가 완전히 다르다며 표절을 부인하기도 했다. 어쩌다 보니 비슷하게 나왔는지, 조금은 유념을 했는지, 아예 의도했는지는 알 수 없다. 기본 리듬의 유사함 빼고는 크게 닮은 부분이 없다. '블러드 라인스'의 도입부 스캣이 '갓 투 기브 잇 업'에서 내내 흐르는 시끌벅적한 소리를 따라 했다고 할 수 있겠으나 그건 작은 분위기일 뿐 표절이라고 할 수는 없다.
리듬이 닮은 부분은 올드한 느낌을 내기 위함이라든지 같은 장르에서 쉽게 발견되는 패턴의 유사함으로 감싸 줄 수도 있을 텐데 지나치게 엄중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런 식으로 표절 판정을 한다면 우리나라는 가요의 팝 표절 문제로 외국에 하루에도 몇 십 억씩은 내줘야 할 듯. 멜로디에, 편곡에, 뮤직비디오에, 의상에 베끼는 게 워낙 많아야지.
비록 표절이라는 낙인이 찍혔지만 퍼렐 윌리엄스의 향후 활동과 커리어에는 조금도 문제가 안 될 듯.
덧글
타격을 입는다면 로빈 시크 쪽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혼에 표절에...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