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사) 공해 원고의 나열


화면에 요리가 넘쳐난다. [찾아라 맛있는 TV], [VJ 특공대]가 맛집을 알려 주는 것이 전부였던 때를 떠올리면 그야말로 격세지감을 느낀다. [테이스티 로드]처럼 진행자들의 맛집 탐방을 골자로 하는 방송도 있고, [수요미식회]처럼 MC들이 자신의 안목과 경험을 늘어놓는 프로그램도 있다. 더불어 [삼시세끼] 같이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재배 및 고기잡이로 끼니를 해결하는 체험 예능도 생겼으며, [식샤를 합시다]처럼 음식 먹는 행위가 주된 소재가 되는 드라마도 만들어졌다. 요리 풍년이다.

요리가 인기 아이템이니 요리사를 부르지 않을 수 없다. [냉장고를 부탁해], [올리브쇼] 등 셰프가 주연이 되는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졌다. 셰프들은 곧 지상파 황금 시간대도 차지했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는 백종원을, [진짜 사나이]에서는 샘킴을 볼 수 있다. 얼마 전 [정글의 법칙]은 레이먼킴을 섭외해 프로그램 성격을 오지 요리 기행으로 변모시켜 가면서까지 작금의 요리사 모시기 경쟁에 동참했다. 셰프가 연예인 못지않다.

텔레비전만 틀면 요리사들을 볼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합편성채널이라는 명칭이 무색할 정도로 종합적인 편성을 일찌감치 포기한) 종편과 케이블의 고질적 문제인 재방, 삼방, 사방 이상으로 나아가는 우려먹기에 의해 요리와 요리사들은 상시적으로 눈에 들어온다.

어젯밤은 포화의 절정이었다. SBS [힐링캠프]에 이연복, 최현석이 게스트로 출연했고, 같은 시간 방송된 MBC는 이연복, 최현석, 샘킴의 평소 생활을 담은 [다큐스페셜]을 내보냈다. 부풀려 말하면 어딜 틀어도 똑같은 경기가 송출되는 올림픽 시즌을 방불케 했다. 이날 약 한 시간 전에는 최현석, 샘킴이 나오는 JTBC [냉장고를 부탁해]가 방송됐으니 동일한 요리사들의 퍼레이드나 다름없었다. 특히 MBC와 SBS는 같은 시간대에 같은 출연자가 겹치는 일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였어야 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면 요리사들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방송사들은 이 관심과 활황을 시청률로 연결시키기 위해 요리사를 초빙하고 요리 프로그램을 더 만들려고 할 것이다. 이들의 인기가 언젠가는 가라앉을 것이고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들은 어떻게든 이 한철 장사에서 좋은 소득을 내야 한다. 일련의 시스템 때문에 어느덧 브라운관은 요리(사)의 공해를 이루고 있다.

덧글

  • 레이오트 2015/06/16 14:56 #

    오죽하면 몇몇 독설가들은 이런 요리 프로그램들을 보고 푸드 포르노라고 평하기도 하더라고요.
  • gvw 2015/06/16 15:41 #

    푸드 포르노라는 말은 농담 섞인 뉘앙스가 강해요. 예전부터 영미권에선 요리, 음식 블로그 등에 올라온 음식 사진을 보면서 하악거리는 걸 두고 농담 삼아 푸드 포르노라고 말했답니다. 포르노에 비견될 만큼 음식 사진이 예쁘고, 감각적 충격으로 다가오더라는 뜻이겠죠.
  • 한동윤 2015/06/17 09:40 #

    레이오트 / 그 양반들은 포르노를 정말 혐오하나 보네요~ 물론 농담입니다;
  • 한동윤 2015/06/17 09:43 #

    gvw / 확실히 예쁘게 찍힌 푸짐한 음식을 보면 엄청 흥분되기도 해요. 그런데 사람마다 특히 좋아하는 것들이 있으니 피규어 포르노, 자동차 포르노 같은 말도 나와 줘야 평등하겠네요;
  • 답없다 2015/06/16 14:59 # 삭제

    대한민국이 이러니 저리니 해도 밥은 먹고 살만은 해졌으니

    음식의 양보다 질을 따질 시기이긴 한데...


    이제 요리사가 난립하네요.
  • 피그말리온 2015/06/16 15:34 #

    개인적으로는 물 들어올 때 노 젓는것 뿐이라 생각하지만...저 요리사들 시간이 저렇게 되나 싶기도 하더라요...스포츠 스타라든가 다른 직종의 사람들도 TV에 자주 나오고는 했지만 대개 본업하느라 저렇게 자주는 못 나오던데...
  • 한동윤 2015/06/17 09:44 #

    피그말리온 / 그러게요. 자기들도 잘나갈 때 더 이름 알리고 싶어서 부르는 족족 출연하는 것이겠죠. 그런데 말씀하신 것처럼 TV에 워낙 자주 보이니 본업에 신경 쓰지 않는 것 같은 인상을 받기도 해요.
  • 고나수 2015/06/16 21:00 # 삭제

    공해가 넘쳐나는 티비에서 그나마 요리가 공해라면 보는 재미라도 있어서 그저 감사하게 봅니다.
  • 한동윤 2015/06/17 09:45 #

    요리 프로그램을 대체로 좋아하시는군요~ :)
  • 솔다 2015/06/16 23:23 #

    그래도 저는 재밌더라고요. sbs스페셜 보고 힐링캠프 보는데 새로운 직업군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해주고 유명인을 여러 각도에서 비춰주니까 신선했어요. 특히 스페셜에서 허셰프가 직속 주방장은 무섭게 가르치면서, 대학생들에게는 좀 상냥하다거나 요리사들에 대한 그간의 인식이 낮았다는 사실, 또 이원복 솊이 아내가 키우던 개 죽고 적적함을 달래기 힘들었다는 말에 눈물 흘리던 모습 등(쓰고보니 힐링캠프껀 기억이 안나네염). 만화가나 은퇴한 스포츠스타가 예능쪽으로 얼굴을 내미는 거랑 비슷하달까. 언젠가 지겹다며 이들이 나오면 채널 돌리게 되더라도 아직은 흥미로워요 ㅋ
  • 한동윤 2015/06/17 09:48 #

    솔다 님처럼 재미있게 보시는 분들도 많을 거예요. 요리가 아닌 토크쇼나 다큐멘터리는 그동안 알 수 없었던 다른 부분을 접할 수도 있고요. 아직 채널 돌릴 때는 아니군요~ ^^
  • 2015/06/17 00:00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5/06/17 09:50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지나가다 2015/06/17 09:54 # 삭제

    가족이 요리프로그램을 너무 좋아해서 솔직히 이 상황이 달갑지만은 않네요.(특히 CJ가 주도한다는 게) 차라리 우리가 평소 먹는 식습관이나 생활양식에 대해 고민해봤음 싶지만, 현실은 그냥 맛나보이는 요리방송 보면서 평소 먹는 고기요리에 술 마시는 저녁풍경이 당연한 것처럼 되어버려서... 나라는 달라도 차라리 제이미 올리버가 했던 영국급식 바꾸던 다큐가 훨씬 진취적이었던 듯 합니다.
  • kiekie 2015/06/17 15:15 #

    본격적인 미식탐구나 특정 식재료의 분석, 요리의 화학적 특징, 문화와 요리의 관계 등 다각도로 요리에 대해 연구하는 프로가 있으면 좋겠어요. 맛집을 찾는 프로보단 생산적이죠. 지금은 그냥 물량으로 때리는 시기려니 생각하고, 차차 프로그램 품질도 좋아질거라 낙관하고 싶네요.
  • k 2015/06/17 17:40 # 삭제

    지금은 여기서 했던거 저기서 또 보여주는 정도라
    난잡하긴 함
  • 펜타토닉 2015/06/20 06:37 #

    후크송이 한창 유행할때 너도나도 특정 작곡가(?)를 찾아가던 때랑 비슷하다고 할까요. 하긴 아직도 이런건 딱히 바뀐 부분이 없지만서도..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