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면에 요리가 넘쳐난다. [찾아라 맛있는 TV], [VJ 특공대]가 맛집을 알려 주는 것이 전부였던 때를 떠올리면 그야말로 격세지감을 느낀다. [테이스티 로드]처럼 진행자들의 맛집 탐방을 골자로 하는 방송도 있고, [수요미식회]처럼 MC들이 자신의 안목과 경험을 늘어놓는 프로그램도 있다. 더불어 [삼시세끼] 같이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재배 및 고기잡이로 끼니를 해결하는 체험 예능도 생겼으며, [식샤를 합시다]처럼 음식 먹는 행위가 주된 소재가 되는 드라마도 만들어졌다. 요리 풍년이다.
요리가 인기 아이템이니 요리사를 부르지 않을 수 없다. [냉장고를 부탁해], [올리브쇼] 등 셰프가 주연이 되는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졌다. 셰프들은 곧 지상파 황금 시간대도 차지했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는 백종원을, [진짜 사나이]에서는 샘킴을 볼 수 있다. 얼마 전 [정글의 법칙]은 레이먼킴을 섭외해 프로그램 성격을 오지 요리 기행으로 변모시켜 가면서까지 작금의 요리사 모시기 경쟁에 동참했다. 셰프가 연예인 못지않다.
텔레비전만 틀면 요리사들을 볼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합편성채널이라는 명칭이 무색할 정도로 종합적인 편성을 일찌감치 포기한) 종편과 케이블의 고질적 문제인 재방, 삼방, 사방 이상으로 나아가는 우려먹기에 의해 요리와 요리사들은 상시적으로 눈에 들어온다.
어젯밤은 포화의 절정이었다. SBS [힐링캠프]에 이연복, 최현석이 게스트로 출연했고, 같은 시간 방송된 MBC는 이연복, 최현석, 샘킴의 평소 생활을 담은 [다큐스페셜]을 내보냈다. 부풀려 말하면 어딜 틀어도 똑같은 경기가 송출되는 올림픽 시즌을 방불케 했다. 이날 약 한 시간 전에는 최현석, 샘킴이 나오는 JTBC [냉장고를 부탁해]가 방송됐으니 동일한 요리사들의 퍼레이드나 다름없었다. 특히 MBC와 SBS는 같은 시간대에 같은 출연자가 겹치는 일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였어야 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면 요리사들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방송사들은 이 관심과 활황을 시청률로 연결시키기 위해 요리사를 초빙하고 요리 프로그램을 더 만들려고 할 것이다. 이들의 인기가 언젠가는 가라앉을 것이고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들은 어떻게든 이 한철 장사에서 좋은 소득을 내야 한다. 일련의 시스템 때문에 어느덧 브라운관은 요리(사)의 공해를 이루고 있다.
덧글
음식의 양보다 질을 따질 시기이긴 한데...
이제 요리사가 난립하네요.
난잡하긴 함